anothel의 지식 창고
기업 보안을 위한 필수 접근통제 정책 이해하기 본문
1. 개요
접근통제 정책은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는 중요한 보안 정책이다. 이를 통해 조직은 데이터와 시스템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접근통제 정책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되며, 각 방식은 보안 목표와 관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다.
대표적인 접근통제 모델로는 무결성 기반 접근통제(MAC), 권한 기반 접근통제(DAC), 그리고 역할 기반 접근통제(RBAC)가 있다.
이 글에서는 각 접근통제 모델의 특징과 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조직에서 효과적인 접근통제 정책을 수립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2. 접근통제의 개념과 필요성
접근통제는 조직의 주요 자산을 보호하고 불법적인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접근통제 정책이 없거나 부실하면, 악의적인 사용자가 민감한 정보에 접근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데이터 유출이나 변경과 같은 보안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
2.1 접근통제의 주요 목표
- 기밀성(Confidentiality): 승인된 사용자만 특정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한다.
- 무결성(Integrity):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삭제하지 못하도록 보호한다.
- 가용성(Availability):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필요한 데이터와 시스템에 원활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3. 주요 접근통제 모델
3.1 MAC(무결성 기반 접근통제)
MAC(강제적 접근통제)는 보안 등급을 기반으로 접근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사용자는 직접 접근 권한을 변경할 수 없으며, 중앙에서 일괄적으로 통제한다.
특징
- 모든 객체(파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보안 등급(Label)이 부여된다.
- 사용자는 허가된 등급 내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 군사 및 정부 기관에서 주로 사용된다.
예시
- 군사 기관에서 ‘기밀(Confidential)’, ‘비밀(Secret)’, ‘최고 기밀(Top Secret)’ 등의 등급을 부여하고, 사용자의 보안 등급에 따라 접근 권한을 결정한다.
- 금융기관에서 특정 계좌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등급별로 부여하여 접근을 제한한다.
3.2 DAC(권한 기반 접근통제)
DAC(임의적 접근통제)는 자원 소유자가 직접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유연성이 높지만, 잘못된 설정으로 인해 보안이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다.
특징
- 사용자가 자신의 파일이나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 운영체제의 파일 시스템 권한 모델에서 많이 사용된다.
- 보안 관점에서 신뢰할 수 없는 사용자에게 잘못된 권한이 부여될 가능성이 있다.
예시
- Windows에서 사용자가 특정 파일의 읽기, 쓰기 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방식.
-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특정 테이블에 대한 접근 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직접 부여하는 경우.
3.3 RBAC(역할 기반 접근통제)
RBAC(역할 기반 접근통제)는 사용자의 역할(Role)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기업 및 조직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며, 관리 효율성이 높다.
특징
- 사용자는 직접 권한을 부여받지 않고, 역할을 통해 권한을 부여받는다.
- 역할 변경 시 일괄적인 권한 조정이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하다.
- 조직 내 직무 분리에 유용하다.
예시
- 은행에서 ‘일반 직원’, ‘매니저’, ‘관리자’ 역할을 정의하고, 각 역할에 맞는 계좌 조회, 승인, 관리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
- 병원에서 ‘의사’, ‘간호사’, ‘행정 직원’ 역할을 구분하여 환자 기록 접근을 제한하는 방식.
4. 접근통제 정책 설계 시 고려사항
조직에서 접근통제 정책을 설계할 때는 보안성과 운영 효율성 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4.1 조직의 보안 요구 사항 분석
- 보호해야 할 주요 자산과 이에 대한 보안 위협을 분석한다.
- 데이터의 민감도에 따라 적절한 접근통제 모델을 선택한다.
4.2 권한 부여 및 관리 방식 결정
- 역할 기반 접근통제(RBAC)와 DAC을 조합하여 관리 부담을 줄이면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 최소 권한 원칙(Principle of Least Privilege, POLP)을 적용하여 불필요한 권한을 부여하지 않는다.
4.3 접근 권한 감사 및 로그 관리
- 접근 로그를 기록하고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불법적인 접근 시도를 탐지한다.
- 자동화된 감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권한 남용을 방지한다.
5. 결론
접근통제 정책은 정보 보안의 핵심 요소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MAC, DAC, RBAC 등의 모델이 존재하며, 조직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고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조직에서는 보안 요구 사항을 면밀히 분석하고, 효과적인 접근통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정책을 수립함으로써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운영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술 노트 > 정보보안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정보 보호, 배송업체 위탁 후에도 끝이 아니다 (0) | 2025.03.31 |
---|---|
ISMS-P, ISO 27001, ISO 27701: 기업의 보안 체계를 완성하는 국제 표준 (0) | 2025.03.30 |
MAC을 활용한 보안: 재전송 공격과 방어 기법 (0) | 2025.03.28 |
스마트카드: 보안과 편의성을 갖춘 미래형 인증 기술 (0) | 2025.03.27 |
RSA 암호화 기초와 예제 분석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