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술 노트 (150)
anothel의 지식 창고

1. 개요전자상거래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거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교환하기 위해 표준화된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특히, 상호 운용성과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안전한 전자상거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UN/CEFACT와 OASIS와 같은 국제 기관들이 다양한 전자상거래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대표적인 표준 기술로는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XML/EDI,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ebXML(Electronic Business Extensible Markup Language)이 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기술들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기업들이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1. 개요리눅스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공유 라이브러리를 호출하는 방식은 프로그램의 성능, 안정성 및 보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프로그램 실행 중 라이브러리를 동적으로 로드하고 이를 호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적절한 디버깅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행히 리눅스에는 여러 유틸리티가 존재하며, 이를 통해 라이브러리 호출 흐름을 상세하게 분석할 수 있다.이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공유 라이브러리 호출을 확인하는 데 유용한 디버깅 유틸리티를 다룬다. 특히 ltrace, strace 등의 리눅스 기본 도구뿐만 아니라 Windbg, Itrace, tcpdump 등의 활용법도 설명한다. 또한 JDBC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연결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 호출을 추..

1. 개요DNS 증폭 공격(DNS Amplification Attack)은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의 한 형태로, 작은 요청 패킷을 이용해 대량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생성하여 목표 시스템의 가용성을 저하시킨다. 이 공격은 DNS 서버의 구조적 특성과 프로토콜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공격자가 적은 리소스로도 막대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다.이 공격은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DNS 리졸버(Open DNS Resolver)를 이용해 수행된다. 공격자는 피해자의 IP 주소를 위조한 후 대량의 DNS 질의를 전송하고, 응답 크기를 증폭시켜 목표 시스템에 과부하를 발생시킨다. 특히, DNS 질의 대비 응답 크기가 훨씬 크다는 점을 이용해 트래픽을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적인 전략이다. 2. DNS 증폭 공격의..

1. 개요데이터베이스는 기업과 기관이 중요한 정보 자산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필수적인 시스템이다. 이에 따라 보안 관리도 필수적이며, 데이터 무결성, 기밀성, 가용성을 보장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데이터 조작과 관리의 중심에 있으며, 이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 적절한 접근 제어와 권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보안을 강화하는 주요 요소인 DDL(Data Definition Language), DCL(Data Control Language), 뷰(View) 등의 개념과 활용 방법을 다룬다.2. 데이터베이스 보안의 중요성데이터베이스 보안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데이터 무결성 보호: 데이터가 악의적으로 변조되지 않도록 방지해야 한..

1. 개요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은 필수적이다. 특히 안드로이드 앱은 APK 파일로 배포되며, 다양한 디컴파일 도구를 이용해 비교적 쉽게 분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코드 탈취, 불법 복제, 악성 코드 삽입과 같은 보안 위협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난독화, 무결성 점검, 안티 디버깅, 루팅 탐지 등의 보안 기술이 활용된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기술들을 상세히 분석하고, 효과적인 적용 방법을 다룬다.2. 난독화(Obfuscation)2.1 난독화 개념난독화는 애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를 사람이 해석하기 어렵게 변형하는 기법이다. 디컴파일 후에도 코드의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다.2.2 난독화 기법이름 난독화: 클래스, 메서드, 변수 등의 명칭을 의미 없는 ..

1. 개요XSS(Cross-Site Scripting)는 웹 보안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취약점 중 하나로, 악성 스크립트를 웹 애플리케이션에 삽입하여 다른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공격 기법이다. 이 공격은 데이터 유출, 세션 탈취, 악성 코드 유포와 같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XSS는 주로 사용자 입력값을 적절히 검증하지 않거나 출력 시 필터링이 부족할 때 발생한다.2. XSS의 종류XSS는 동작 방식에 따라 크게 Stored XSS, Reflected XSS, DOM-Based XSS로 나뉜다.2.1 Stored XSS (저장형 XSS)Stored XSS는 공격자가 악성 스크립트를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다른 사용자가 이를 조회할 때 실행되도록 하는 공격 유형이다. 데이..

1. 개요웹사이트 관리자는 검색 엔진 크롤러(Crawler)가 사이트를 방문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크롤러는 검색 엔진이 웹사이트 콘텐츠를 색인화하여 검색 결과에 표시되도록 돕는 역할을 하지만, 민감한 정보나 특정 페이지가 크롤링되지 않도록 설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이를 위해 여러 파일과 설정을 활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robots.txt, crawler.txt, access.conf, httpd.conf 등이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파일의 기능과 활용법을 상세히 다룬다.2. 크롤러란 무엇인가크롤러는 웹사이트를 자동으로 탐색하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소프트웨어이다. 검색 엔진은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색인(index)을 생성하고 사용자 검색 요청에 적합한 결과를 제공한다. ..

1. 개요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환경이다. 이 과정에서 시스템 권한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시스템 권한은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메커니즘으로, 사용자 데이터 보호와 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이 글에서는 안드로이드 시스템 권한의 개념, 주요 권한의 종류, 작동 방식, 그리고 이를 활용하는 실제 사례를 자세히 다룬다.2. 안드로이드 시스템 권한의 개념안드로이드 시스템 권한은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규칙이다. 권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일반 권한: 사용자가 앱 설치 시 자동으로 허용하는 권한으로, 보안에 상대적으로 낮은 ..
1. 개요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할 때, 기본 구조와 핵심 파일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특히 앱 실행 시 필요한 권한을 선언하고, 빌드 도구 및 운영체제에 필수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들의 역할을 명확히 알아야 효율적인 개발이 가능하다.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필수 파일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각각의 역할과 사용 방법, 그리고 예시를 통해 실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본다.2. AndroidManifest.xml: 앱의 설정과 권한 선언2.1 정의와 역할AndroidManifest.xml은 안드로이드 앱의 설정 정보를 담고 있는 핵심 파일이다. 앱이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권한, 앱 컴포넌트 선언, 최소 SDK 버전, 테마 등 다양한 정보를 이 파일에 정의한다.2.2 주요 항목권한 선언 앱이 실행되면서 접근..

1. 개요사이버 보안은 빠르게 변화하는 위협과 끊임없이 싸워야 하는 영역이다. 특히 악성봇에 감염된 PC가 해커의 제어를 받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다.이 글에서는 DNS 싱크홀을 중심으로, 악성봇의 제어 서버 연결을 차단하고, 해커의 명령 전달을 방해하는 방법을 심도 있게 다룬다. 또한 DNS 라우팅, DNS 스푸핑, DNS 웜홀과 같은 관련 기술들에 대해서도 설명한다.2. 문제의 원인 및 배경악성봇은 감염된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C&C(Command and Control)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한다. 이 통신이 성공하면 해커는 감염된 PC를 원격으로 조종하거나 추가적인 악성 코드를 배포할 수 있다. 이러한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악성봇의 C&C 서버 연결 시도를 무력화하는 기술이 필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