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술 노트 (137)
anothel의 지식 창고

1. 개요Oracle은 데이터를 저장, 관리, 검색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RDBMS)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IT 업계 전반에서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회사는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ERP, 클라우드 컴퓨팅, 하드웨어 솔루션 등 폭넓은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대규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다양한 비즈니스 요구를 충족한다.Oracle의 데이터베이스는 높은 신뢰성, 확장성, 고성능을 제공하며,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특히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기업의 핵심 데이터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러한 특성은 금융, 제조, 전자상거래, 공..

1. 개요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포 방식이 진화하면서 "도커(Docker)"라는 이름은 이제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만큼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도커는 소프트웨어를 일관성 있게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는 "컨테이너"라는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환경에서도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도록 돕는다. 이번 글에서는 도커가 무엇인지, 도커와 가상머신(VM)의 차이점, 도커가 해결해주는 문제점, 그리고 도커의 장단점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2. 도커의 개념과 역할도커는 쉽게 말해 "소프트웨어를 통째로 담아 어디서든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고 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때 운영 체제나 각종 라이브러리, 종속성이 복잡하게 얽히면 다른 환경에서는 코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도커는..

1. 개요후킹(hooking)은 소프트웨어 개발 및 보안 분야에서 중요한 기술로, 특정 기능의 동작을 가로채거나 수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API 호출이나 함수 호출을 수정하여 프로그램의 동작을 변경하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후킹은 보안 솔루션, 디버깅 도구 등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2. 후킹의 정의후킹이란 특정 함수나 이벤트의 동작을 가로채고 그 동작을 수정하거나 다른 기능을 실행하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후킹을 통해 개발자는 특정 기능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3. 후킹의 원리후킹은 프로그램의 실행 중 특정 지점을 가로채어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보통 운영체제의 API, 메시지, 특정..

1. CMake 소개CMake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의존성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는 툴이다. 크로스 플랫폼 지원과 자동 의존성 관리를 통해 복잡한 프로젝트에서도 일관된 빌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젝트 빌드 규칙은 CMakeLists.txt 파일에 정의되며, 플랫폼에 맞는 빌드 시스템(Ninja, Make, Visual Studio 등)으로 변환된다.주요 장점여러 플랫폼에서 동일한 빌드 스크립트를 사용 가능, 자동 의존성 관리주요 사용 사례대규모 프로젝트의 멀티 플랫폼 빌드, 라이브러리 의존성 관리2. CMake 설치 및 환경 설정CMake는 Windows, Linux, Docker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 PATH 설정을 통해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1. GitLab Runner 개요GitLab Runner는 GitLab의 CI/CD 기능을 사용해 코드 빌드, 테스트, 배포를 자동화할 수 있는 도구다. 다양한 실행 환경을 지원해 여러 작업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단위나 공유 Runner로 설정할 수 있어 유연하게 사용 가능하다.2. GitLab Runner 설치 방법Windows에서 설치설치 파일 다운로드 및 권한 설정공식 사이트에서 gitlab-runner-windows-amd64.exe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C:\GitLab-Runner 폴더에 저장 후 이름을 gitlab-runner.exe로 변경한다.명령 프롬프트 실행: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 gitlab-runner.exe install> g..

Google C++ Sytle Guide를 해석해가며 공부한 후 배운 점과 느낀 점에 대해서 서술하려 한다. Background, Goals of the Style Guide BackgroundC++는 수많은 Google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주요 개발언어이다. 모든 C++ 개발자가 알고 있는 것처럼 C++는 강력한 기능들이 많지만, C++의 이러한 강력한 기능들은 버그를 일으키기 쉽고, 코드를 읽거나 유지 보수하기 어렵게끔 만드는 복잡성을 갖고 있다.이 가이드의 목표는 C++를 사용한 개발을 하며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해 아주 자세하게 서술함으로써 복잡성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규칙은 코드 베이스를 관리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C++ 개발자가 생산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1. 레거시 코드와 첫 만남: 레거시 코드에서 느낀 한계개발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레거시 코드라는 지옥을 경험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회사에서 TF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나 역시 레거시 코드의 한계를 체감했다. 프로젝트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C 기반 코드와 GCC 컴파일러로 작업을 시작했는데, 처음부터 메모리 누수 문제가 상당했다. Valgrind로 누수를 추적하고, 수많은 테스트 코드 작성 끝에 간신히 해결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이 프로젝트를 JNI 인터페이스로 Java 라이브러리와 회사의 기반 라이브러리를 연결하는 모듈로 개발해 JAR 파일을 배포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이후 리눅스 기반에서 개발한 코드를 윈도우 환경으로 포팅하여 엔지니어들이 쉽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면서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